에너지 인프라 안보의 개념틀과 구성요소 분석: 한국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Components of Energy Infrastructures Security: An Examination of the South Korean Case


by 이재승 (Jae-Seung Lee), 유정민 (Jung-Min Yoo), 이흥구 (Heungkoo Lee)


<About Authors / 저자소개 >

 이재승 (Jae-Seung Lee)
이재승은 예일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및 그린스쿨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스탠포드대학 및 존스홉킨스대학에서 방문학자를 역임한 바 있다. 에너지안보와 관련한 국제협력분야의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 최근 연구로는 “South Korea’s Urban Green Energy Strategies: Policy Framework and Local Responses Under The Green Growth” (2016), “Pipeline Politics between Europe and Russia: A Historical Analysis from the Cold War to Post-Cold War” (2016), “Virtual Water Management and the Waterenergy Nexus: A Case Study of Three Mid-Atlantic States” (2015) 등이 있다.

Jae-Seung Lee is currently Professor of International Studies and KU-KIST Green School at Korea University. He also served as a visiting scholar at Stanford University and Johns Hopkins University. Professor Lee conducted a number of research projects on energy security and international energy cooperation. His recent publications include: “South Korea’s Urban Green Energy Strategies: Policy Framework and Local Responses Under the Green Growth” (2016), “Pipeline Politics between Europe and Russia: A Historical Analysis from the Cold War to Post-Cold War” (2016), “Virtual Water Management and the Waterenergy Nexus: A Case Study of Three Mid-Atlantic States” (2015).


 유정민 (Jung-Min Yoo)
유정민은 미국 델라웨어대학교 에너지정책연구소를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서울에너지공사 에너지정책연구소의 수석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로는 “전력산업구조개편 담론의 재구성”, “에너지 전환을 위한 소통적 전력 계획의 모색” 등이 있다.

Jung-Min Yoo, graduated from Center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y at University of Delaware, is a chief researcher at Seoul Energy Corporation (SEC). Prior to the position, he work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as a research professor. He is an author of a number of journal articles, including “Reconstruction of Electricity Restructuring Discourse” and “Exploring Communicative Electricity Planning for Energy Transformation.”


 이흥구 (Heungkoo Lee)
이흥구는 UNSW(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에서 Development Studies로 석사,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국제학 석사를 취득하였고, 현재 고려대학교 그린스쿨에서 에너지 ․ 환경정책전공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에너지 전환, 신재생에너지정책, 에너지 인프라 안보 등이며, 주요 논문으로 “Can Shale Gas Be the Alternative? — The New Energy Trends in the U.S. and Europe and Their Implications for Asia” (2015, 공저)가 있다.

Heungkoo Lee received M.A. from UNSW and M.A. from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iversity. He is currently a Ph.D. student in the Green School at Korea University. He has a special interest in the field of energy transition, renewable energy policy and energy infrastructure security. His recent
publication includes “Can Shale Gas Be the Alternative? — The New Energy Trends in the U.S. and Europe and Their Implications for Asia” (2015, co-authored).



<초록 / Abstract>
확장된 에너지 안보 개념으로서의 에너지 인프라 안보는 외부적 ․ 물리적 공격으로부터의 시설 방어를 넘어서 사이버 공격, 기후변화, 자연재해와 같은 비전통적 위협요인으로부터 에너지 공급체계 전반에 걸친 인프라의 보호를 포함한다. 미국과 EU는 1990년대부터, 특히 9/11 테러사태 이후 에너지를 포함한 핵심 기간시설 안보를 우선적인 정책의제로 관리해왔다. 한국은 주요 에너지 수입국이자 다소비국으로 에너지 수급 및 기간설비와 관련한 절대적인 경제적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남북한 대립 및 동북아시아의 지정학적 긴장 상황 하에서 에너지 인프라 안보는 안전을 넘어선 국가안보 차원에서의 중요성도 지닌다. 본 연구는 에너지 인프라 위협의 주요 요소들을 중심으로 한국 에너지 인프라 취약요인들을 고찰하고 에너지 복원력, 분산화, 지역협력을 반영한 국가 차원의 포괄적 에너지 인프라 안보 전략의 수립을 제안한다.

As an expanded concept of energy security, energy infrastructure security means not only the defensive measures to protect critical facilities from external physical attacks but also a resilience to unconventional threats such as cyber attacks, climate change and natural disaster. The US and EU has managed critical energy infrastructure protection as a policy priority since the 1990s, especially in the aftermath of 9/11 terrorist attack. South Korea, as a major energy importer and heavy energy consumer, has huge economic stakes in protecting critical energy infrastructures. Furthermore, the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geopolitical tensions in Northeast Asia also add political importance of maintaining energy infrastructure security. This study examined the vulnerabilities of South Korea’s energy infrastructures and proposed a comprehensive policy package for national energy infrastructure security focusing on energy resilience, decentralization and regional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목차
Ⅰ. 서론
Ⅱ. 에너지 인프라 안보의 개념 정의
Ⅲ. 한국 에너지 인프라의 주요 위협요인
Ⅳ. 사례연구: 미국 및 EU의 에너지 인프라 안보 정책
Ⅴ. 포괄적 에너지 인프라 안보 전략의 과제
Ⅵ. 결론


주제어: 에너지, 인프라, 안보, 한국, 미국, EU
Keywords: Energy, Infrastructure, Security, South Korea, US, E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