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지원 20년(1995~2015): 민간단체의 대북지원 성과와 과제
20 Years of Aid to North Korea: Impact and Challenges of NGO Assistance


by 문경연(Kyungyon Moon), 이우영(Wooyoung Lee), 정소민(Somin Jung)



<About Authors / 저자소개 >


▶ 문경연 (Kyungyon Moon)
문경연은 Cranfield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수출입은행을 거쳐 현재 전북대학교 지미카터 국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개발협력, 원조 규범 및 추진체계와 대북지원을 연구하고 있다.


Kyungyon Moon received his Ph.D. at Cranfield University in Britain. He has working experience at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t Korea University,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and is now working at Jimmy Carter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areas are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aid norm and architecture, and aid to North Korea.



▶ 이우영 (Wooyoung Lee)
이우영은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북한 사회문화와 남북한 사회문화 통합이며, 제 16대 북한연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Wooyoung Lee received his Ph.D. at Yonsei University in South Korea and is now serving as Professor of the Un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s in Seoul,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North Korean society and culture,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so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He also served as the Presid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 Korean Studies.


▶ 정소민 (Somin Jung)
정소민은 현재 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개발협력학과 박사과정 수료 후 박사논문을 준비 중에 있다. 중앙대학교에서 북한개발협력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주요 연구분야로는 국제개발협력 이론 및 프레임워크의 북한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Somin Jung is a Ph.D. candidate majoring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Pan-Pacific International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in Seoul, South Korea. She received her Masters in Development and Cooperation for North Korea at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in Seoul, South Korea. Her research interest is applying development agendas and approaches to North Korea.



<초록 / Abstract>

1995년, 대규모 홍수 피해를 당한 북한이 국제사회에 인도적 지원을 요청해옴에 따라 한국 정부와 민간단체는 대북지원 사업을 시작하였고, 이후 2015년까지 20년 동안 대북지원이 지속되었다. 본 연구는 남한의 민간단체가 실시해온 대북지원 사업을 객관적이고 비판적으로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북지원 분야를 일반 및 긴급구호 분야, 농축산 분야, 보건의료 분야, 취약계층 지원 분야, 사회인프라 분야 등 5개 분야로 구분한 후, 20년의 대북지원에서 어느 분야에 가장 많은 지원 분야가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동시에 각 정부별로 분야별 지원 비중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는 한편 5개 분야별 지원 단체 현황, 주요 사업, 특징 및 성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대북지원 재개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써 대북지원이 북한의 인도주의 사태 완화 및 경제개발의 관점에서 어떻게 조화롭게 추질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패러다임의 수립, 남한 내부의 대북정책 변화에 상관없이 대북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북지원의 원칙과 방법에 대한 사회적 합의 모색, 남한 정부와 시민사회가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대북지원에 대한 적절한 모니터링과 평가 또한 수반되어야 함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In 1995, as North Korea suffered from massive floods and called for humanitarian assistanc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Korean government and civilian organizations launched some initiatives to assist North Korea and continued to support North Korea for 20 years by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North Korean aid projects implemented by North Korea aid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We divide the assistance fields into five areas: general and emergency relief sector, agriculture and livestock sector, healthcare sector, vulnerable layer sector and social infrastructure sector, and analyzed how much the extent of support for each sector has changed for each government. In addition, we seek to critically examine the current status, major projects, characteristic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each area. Based on the result, we suggest certain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when resuming North Korea Assistance a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대북지원 사업의 구분 및 분석틀
Ⅲ. 정부별 민간단체 대북지원의 특징
Ⅳ. 분야별 대북지원 평가
Ⅴ. 향후 대북지원을 위한 과제
VI. 결어



주제어: 대북지원, 대북지원민간단체,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남북교류협력
Keywords: North Korea Assistance, North Korea Aid Organizations, Private Sector,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Korea NGO Council for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KNCCK),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