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후 동북아 외교안보 환경과 한국외교의 과제
Strategic Environment After Korean Unification and Korea’s Diplomatic Tasks



by 김성한(Sung-han Kim)



<About Authors / 저자소개 >


▶ 김성한 (Sung-han Kim)
김성한은 현 고려대 국제대학원 원장 겸 일민국제관계연구원장이다. 미 텍사스대(오스틴)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외교통상부 차관(2012-2013),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미국정치연구회장 및 대통령 외교안보자문위원, 국방부 자문위원을 역임하였다. 대표저서로는 『미국외교정책』(공저), "중국의 부상과 강대국 정치" 등이 있다.


Sung-han Kim is currently the Dean of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GSIS) and director of the Ilmin International Relations Institute at Korea University. Dr. Kim served as the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of Korea in 2012-2013 and was a member of the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for Foreign Affairs and National Security in 2008-2012. Dr. Kim received his Ph.D.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U.S.A. His recent contributed articles include "From Blood Alliance to Strategic Alliance" and "The End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초록 / Abstract>

한반도 통일은 현재의 대한민국의 가치 체계인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한반도 전체로 확대시키는 역사적 계기가 될 것이고, 통일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역할을 한 주변국(미‧일‧중‧러)과 협력을 유지‧확대해 새로운 ‘유라시아 시대’를 열게 될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 통일한국과 동맹을 계속 유지하고 아·태 지역에 대해 지속적인 리더십을 행사하려고 할 경우, ‘한·미·일 대 중·러’ 경쟁 구도가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 만일 통일한국 등장 이후 미국이 신고립주의 정책을 펼 경우, 중·일 간의 지역 패권경쟁이 나타날 수 있다. 미국이 어떤 이유에서건 통일한국과의 동맹을 폐기하고 미·일동맹에만 의존하게 될 경우, 미·일 대 중·러 경쟁 구도가 첨예화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두면서 한국은 중국과 경제적 협력관계를 주로 하면서 정치·안보적 협력 단계로 발전시키는 것은 적절히 ‘속도 조절’을 하고, 영국처럼 안보에 관한 한 한·미동맹이 확고한 중심축이라는 신뢰를 미국으로부터 확보하며, 베트남처럼 지나치게 중국을 두려워하지 않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어야 하고, 인도처럼 미국과 과학기술 연대를 구축하여 한국의 브레인 파워를 키워야 한다.


Korean reunification will be a historic event that catalyzes the spread of liberal democracy and market economy—the twin principles upon which today’s ROK is founded—across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t will further lay the groundwork for the birth of a new “Eurasian era,” driven by the continued expansion of cooperation between the states that play various direct or indirect roles during the unification process. If the United States tries to play the leadership role in the Asia Pacific region, a rather competitive relationship may emerge between Korea-US-Japan and China-Russia. When the United States shows a neo-isolationist tendency after the Korean reunification, Korea is likely to face the Sino-Japanese strategic rivalry and regional hegemonic competition. If the United States solely relies on Japan by downgrading its alliance with Korea, we will come across a strategic polarization between US-Japan and China-Russia. In order for Korea bent on unification to maximize the pursuit of its national interests under this situation, it must adjust the “speed” of cooperation with China by focusing on economic collaboration while taking gradual steps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the political and security arenas; assure the United States that the ROK-US alliance remains the cornerstone of Korean security, just as it is for the US-UK relationship; build enough confidence to avoid excessive fear of China, as currently seen in Vietnam; and pursue ROK-US technological collaboration in order to enhance our “brain power,” as seen in the case of US-India relations.



<목차>
I. 통일한국의 비전
II. 한반도 통일로 인한 주변 4국의 득실
III. 통일 이후 동북아 외교안보환경 변화
IV. 한국외교의 과제



주제어: 통일한국, 동북아, 전략적 완충국, 세력전이, 다자안보협력
Keywords: Unified Korea, Northeast Asia, strategic buffer state, Power Transition,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