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태평양 규칙기반 질서 형성과 쿼드협력의 전망
Forging a Indo-Pacific Rule-based Order and Prospect for the QUAD Cooperation



by 
정구연, 이재현, 백우열, 이기태 (Kuyoun Chung, Jaehyon Lee, Wooyeal Paik, Kitae Lee)


<저자소개/About the author>

▶정구연 (Kuyoun Chung)
정구연은 현재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캘리포니아 대학로스앤젤레스(UCLA)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학위 이후 국립외교원 객원교수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으로 근무하였다주요 연구분야는 미국 대외정책국제안보 및 개발협력으로최근 연구업적은 “Geopolitics and A Realist Turn of U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미중 세력전이와 미국 해양전략의 변화회색지대 갈등을 중심으로”“우파포퓰리즘과 미국 대외정책에 대한 함의” 등 다수의 논문과 저서가 있다
.

Kuyoun Chung i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ince 2018. Previously, she was a visiting professor at the Korea National Diplomatic Academy (2014-2015), a research fellow at the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15-2018). Her research focuses on US foreign policy, international security issues in the Asia-pacific, and development cooperation. Recent publication includes articles 
Geopolitics and A Realist Turn of U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Sino-US Power Transitions and Evolving US Maritime Strategy: Focusing on Grey-zone Conflicts andRightwing Populism and Its Implications for US Foreign Policy.



▶이재현 (Jaehyon Lee)
이재현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의 아세안-대양주 연구프로그램 선임연구위원이다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치학 학사동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받고호주 Murdoch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학위 이후한국동남아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외교통상부 산하 국립외교원의 외교안보연구소에서 객원교수를 지냈다주요 연구분야는 동남아 정치아세안동아시아 지역협력 등이며비전통 안보와 인간 안보오세아니아와 서남아 지역에 대한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다
.

Dr. LEE Jaehyon is a senior fellow in the ASEAN and Oceania studies program at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Previously, Dr. Lee was a research fellow at the Korean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KISEAS) and a visiting professor at the Institute of Foreign Affairs and National Security (IFANS), Korean National Diplomatic Academy (KNDA). Dr. Lee
s research focuses on Southeast Asian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and non-traditional and human security issues.


▶백우열 (Wooyeal Paik)
백우열은 현재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2011~2016)와 성균중국연구소의 부소장 (2014~2016)으로 활동했다주요 학술적-정책적 연구 분야는 중국과 동남아시아중앙아시아남아시아의 정치경제국가-사회관계비교 권위주의그리고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상호작용공공외교 등이다이 연구들과 연관된 주요 저작은 The China Quarterly, Political Science Quarterly,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Modern China,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The Pacific Review, Asia Europe Journal, 
󰡔한국정치학회보󰡕와 다수의 정책 저널 등에 게재되었다.

Wooyeal PAIK i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 Yonsei University since 2017. Previously, he wa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2011-2016) and vice director at Sungkyun Institute of China Studies, Sungkyunkwan University (2014-2016) in Seoul, Korea. Specializing in comparative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his recent research focuses on the comparative authoritarianism, political economy and state-society relations of contemporary China and Asia along with their interactions with international politics in those regions. His recent publications appear in The China Quarterly, Political Science Quarterly,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and many other academic and policyoriented journals / edited volumes.


▶이기태 (Kitae Lee)
이기태는 현재 통일연구원 국제협력연구실 부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연세대학교 북한연구원 전문연구원(2013~2014)과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전임연구원(2014~2015)으로 활동했다주요 연구 분야는 일본외교안보동북아시아 국제정치이다주요 저작은 
󰡔일본연구논총󰡕󰡔국가안보와 전략󰡕 등 다수의 저널 등에 게재되었다.

Kitae Lee is a research fellow at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since 2015. Previously, he was a research fellow both at Yonsei Institute for North Korean Studies (2013-2014) and at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of Kookmin University (2014-2015) in Seoul, Korea. His main research area is Japanese Security Policy,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His recent publications appear in The Korean Journal for Japanese Studies, The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and many other academic and policyoriented journals / edited volumes.



<
초록/Abstract>

본 논문은 인도태평양이라는 지전략적 개념에 대한 미국, 일본, 호주, 인도의 차별적 이해수준을 살펴보고, 인도태평양 역내 세력전이의 상황 속에서 약화되어가는 미국의 자유국제주의 질서, 그 가운데에서도 규칙기반 질서에 대한 국가별 인식을 비교한다. 그리고 이러한 규칙기반 질서를 강화하기 위한 각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쿼드 협력의 방향에 대해 전망해본다. 아직 구체적인 인도태평양 전략이 형성되어가는 과정이지만, 네 국가들 사이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인도태평양 전략공간에 대한 상이한 인식, 중국의 부상에 대한 서로 다른 대응 양상이다. 특히 각국의 전략은 중국에 대한 헤징과 균형 사이의 연속선상에 각각 달리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궁극적으로 쿼드 협력의 지속 가능성의 제약요소로 기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향후 미국이 인도태평양 전략을 통해 추구할 규칙기반 질서가 과연 역내 형성될 다극체제와 정합성을 가질 수 있을지의 여부, 그리고 인도태평양 역내 더 많은 국가들이 참여할 수 있는 쿼드협력의 확대가 과연 기존의 동류국가 간의 협력과 같은 양태를 보일 수 있을지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explores a geostrategic concept of Indo-pacific and how differently the US, Japan, Australia and India understand it. Also, it compares how these four countries perceive the declining US-led liberal internationalist order, more specifically, a rule-based order in the context of power transition in the Indo-pacific and how they attempt to strengthen rule-based order in the region and forge the quadrilateral security dialogue, or, QUAD. While the specifics of the Indo-pacific strategies are in the making, four countries still do not agree with the geostrategic scope of the Indo-pacific, not to mention of sharing threat perception on China and coerciveness of responding strategies. Four countries
 responses against China exist on the continuum between hedging and balancing, which will make it difficult to sustain the cooperation on the QUAD. Besides, it should be explored whether the US-led Indo-pacific strategy and corresponding rule-based order can be compatible with rising multipolar structure in the region and whether expansion of the QUAD that might include more regional countries would result in the cooperation among like-minded countries
 as in the past.


<
목차/Contents>

. 서론
. 자유국제주의 질서의 쇠퇴와 인도태평양 역내 현상변경의 현황
. 주요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규칙기반 질서 관념
. 쿼드협력의 전망
. 결론


주제어: 인도태평양, 규칙기반 질서, 자유국제주의, 쿼드, 현상변경
Keywords: Indo-pacific, Rule-based order, Liberal Internationalist order, Re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