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정책결정자의 개인적 특성과 미국의 군사적 개입격차: 오바마 대통령의 크림반도 및 남중국해 대응 비교 
Foreign Policy Maker’s Personality Attributes and ‘Intervention Divide’ of U.S. Military Intervention: Comparison of Obama’s Responses to Russia’s Crimea Annexation and China’s Island Build-up in the South China Sea
 


by 이수진, 이신화 (Su-jin Lee, Shin-wha Lee) 



<저자소개/About the author> 

▶이수진 (Su-jin Lee) 
이수진은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선임전문연구원이다. 고려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군사적 개입정책결정과정 및 효과평가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국무조정실 국정과제 평가전문위원 (2016) 으로 활동하였으며, 군사적 개입과 관련된 최근 연구로는 “도클람 사례로 본 중국의 위기관리 행태와 안보적 함의” (2018) 등이 있다. 

Su-jin Lee is an associate research fellow at the Center for Security & Strategy, Korea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As a Ph.D. Candidate in International Relations, she focuses on military intervention decision making process and effects of military intervention. She served as a member of the Evaluation Committee on National Tasks,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Prime Minister’s Secretariat (2016). Her recent publications on military intervention include “China’s Crisis Behavior during the Doklam crisis and its Security Implications” (2018). 


▶이신화 (Shin-wha Lee) 
이신화는 현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공외교위 민간위원(2017~현재)으로 활동 중이고, 유엔 사무총장 평화구축기금(PBF)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최근 학술논문으로는 “South Korea’s Refugee Policies: National and Human Security Perspectives” (Palgrave McMillan, 2019)와 “유엔 다자주의 틀에서의 강대국정치: 안보리결의안과 미중안보경쟁” (동서연구, 2018) 등이 있다. 

Shin-wha Lee is a professor of at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Korea University. She is a member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Public Diplomac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7~present) and served as UN Secretary-General’s Advisor on Peacebuilding Fund (PBF). Her recent publications include “South Korea’s Refugee Policies: National and Human Security Perspectives” (Palgrave McMillan, 2019); and “Great Power Politics in the UN Multilateral Framework” (Journal of East and West Studies, 2018).



<초록/Abstract> 
본 연구는 오바마 행정부 시기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사태에 대한 미국의 군사적 불개입과 중국의 남중국해 인공섬 건설에 대한 군사적 개입 이면의 정책결정 동학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규칙 기반의 국제질서에 도전한 두 강대국(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군사적 ‘개입격차’를 고찰하는 데 있어 외교정책결정요인들 중 어떤 요인이 가장 적실성 있는 설명력을 지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른 기존연구들과 마찬가지로 개인적, 국내적 및 체제적 변수의 상호작용이 군사적 개입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도, 최고정책결정자의 특성과 역할이 가장 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한다. 문제인식, 진단, 계획, 그리고 선택이라는 각각의 정책결정단계가 외교정책결정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분석틀을 제공한다는 전제 하에, 크림반도와 남중국해 사태에 대한 미국의 대응에 있어 오바마의 개인적 특성, 특히 그의 인식, 신념체계, 동기, 상황정의, 선호 등이 어떻게 군사적 개입과 불개입을 가르는 데 영향을 끼쳤는지 고찰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policy decision dynamics behind U.S. non-military intervention in the Crimea crisis and military intervention in China’s construction of artificial islands in the South China Sea. In order to review the difference in Washington’s military intervention against the two revisionist major powers, it looks at which variable worked most critically to have strong explanatory power among multiple determinants of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In common with earlier studies, while recognizing complex interplay among individual, domestic, and international system variables involved in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y argues that the top policy maker played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military intervention. On the premise that each policy-making phase of problem recognition, diagnosis, planning and selection provides an important framework for understanding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it reviews how President Obama’s personal attributes, especially his perception, belief system, motive, definition of situations, and preferences had a decisive influence on military intervention decisions. 



<목차/Contents> 
Ⅰ. 서론 
Ⅱ. 외교정책결정요인과 정치지도자의 개인적 특성 
Ⅲ. 오바마 대통령의 개인적 특성과 정책선택 경향 
Ⅳ. 미국의 군사적 불개입: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사태 
Ⅴ. 미국의 군사적 개입: 중국의 남중국해 인공섬 건설 
Ⅵ. 지도자의 개인적 특성이 군사적 개입에 미치는 영향 비교 
Ⅶ. 결론 


주제어: 외교정책결정과정, 군사적 개입, 크림반도, 남중국해 인공섬, 상황정의, 다원화된 참모집단 
Keywords: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Military Intervention, Crimea Crisis, South China Sea Artificial Islands, Definition of Situation, Multiple Advo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