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ter Breaking the Deadlock: Extending Cooperation with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rough Natural Disaster Management 
교착을 넘어: 자연재해 관리를 통한 북한과의 협력 확대
 



by Taek Goo Kang, Giwoong Jung, Soohwan Hwang (강택구, 정기웅, 황수환) 



<저자소개/About the author> 

▶Taek Goo Kang (강택구)
Taek Goo Kang is a research fellow a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He has published numerous articles and has conducted several projects related to Chinese foreign policy, inter-Korean relations, and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East Asia. 

강택구는 현재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중국 외교정책, 남북한 관계, 동아시아 환경협력이다. 


▶Giwoong Jung (정기웅)
Giwoong Jung is senior research fellow of Seoul Center for Peace Studies. His agenda includes international cooperation & negotiation, sport politics & diplomacy, public diplomacy and ODA. His writings have appeared in Asia Europe Journal,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The Korean Journal of Area Studies, and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정기웅은 현재 서울평화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이다. 전공분야는 국제정치이고, 연구 관심분야는 국제협력/협상, 스포츠 정치/외교, 공공외교/ODA, 통일/남북관계 등이다. 


▶Soohwan Hwang (황수환) 
Soohwan Hwang is a senior researcher at Kangwon Institute for Unification Studies(KIU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is recent publications include “Paths to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Peace Agreement Types” and “Aid to North Korea for Capacity Building of the Unification of Kore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ole of Stat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oauthored).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inter-Korean relations, Korean unification,conflict resolution, and peace studies. 

황수환은 현재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로는 “평화협정의 유형에 따른 한반도 평화체제의 경로” (2017), “한반도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대북지원 방향: 국가와 국제기구의 역할 비교 분석” (2018)이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남북한 관계, 한반도 통일, 분쟁해결, 평화연구이다.


<초록/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of DPRK natural disaster management and suggest the possible ways of cooperation to invite DPRK into the global society. We focus on three objectives. First, we review and categorize the natural disasters that occurred in DPRK between 2001 and 2015. We trace the damages caused by them and frequency of occurrence. Second, we examine DPRK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and legal system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two analyses, we suggest approaches to promote cooperation and possible projects to prevent and manage natural disasters in DPRK. To propel persistently the cooperation with DPRK, active cooperation with IGOs and INGOs might be a good approach, which encompasses information and personnel exchanges. The aid to DPRK should start from small-scale pilot project cases. We should also pursue to build network with DPRK experts and government officials as overriding concern. 

본 논문은 북한의 자연재해 관리 현황을 검토하고 북한을 국제사회로 초대하기 위한 가능한 협력의 방법들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세 가지에 집중하고 있다. 첫째, 2001년부터 2015년 사이에 북한에서 발생한 자연재해를 고찰하여 그 피해 정도와 발생의 빈도를 추적함으로써 범주화하였다. 둘째, 북한의 재해 관리 정책과 법체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앞의 두 가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과의 협력을 촉진하고 북한의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가능한 사업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북한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보 및 인적 교류를 포괄하는 IGO 및 NGO와의 적극적인 협력이 좋은 접근법이 될 수 있다. 북한에 대한 지원은 소규모 시범 사업에서 시작될 필요가 있다. 또한 북한의 관련 전문가 및 정부 관리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이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져야 한다. 


<목차/Contents> 
Ⅰ. Introduction 
Ⅱ. The Current Situation 
Ⅲ. Data Collection and Categorization of DPRK Natural Disasters 
Ⅳ. DPRK Natural Disaster Policy and Management System 
Ⅴ. How to Improve Cooperation with DPRK for Natural Disaster Management 
Ⅵ. Conclusion 


Keywords: Peacebuilding, Natural Disasters, Human Security, Environmental Management, Cooperation 
주제어: 평화구축, 자연재해, 인간안보, 환경관리,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