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경쟁 지정학 속의 북중관계
China-North Korea Relations in the U.S.-China Geopolitical Rivalry



by 이성현 (Seong-hyon Lee)



<저자소개/About the author>

▶ 이성현 (Seong-hyon Lee)
이성현은 현재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이자 중국연구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미중 및 북중관계이다. 미국 그리넬(Grinnell)대 학사, 하버드(Harvard)대 석사학위를 받고, 중국 칭화대(清华大学)에서 박사(국제커뮤니케이션) 학위를 받았다. 베이징에서 11년을 살았고, 스탠퍼드대 아태연구소 팬택펠로우를 역임하였으며, 미국외교협회(CFR), 하버드케네디스쿨, 랜드연구소, 미국인도태평양사령부 등에서 강의와 발표를 하였다. 

Seong-hyon Lee, Ph.D. is Director of Center for Chinese Studies at the Sejong Institute. Formerly he was Director of the Department of Unification Studies at Sejong. He is a graduate from Grinnell College, Harvard University, and Tsinghua University (Ph.D. in International Communication). He lived in Beijing for 11 years. He gave lectures and talks at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CFR), Harvard Kennedy School, Stanford University, RAND Corporation, and the U.S. Indo-Pacific Command.


<초록/Abstract>
북핵 문제 해결 과정에서 우리는 항상 중국을 의식한다. 특히 중국의 대북 영향력을 높이 평가하고 그 영향력을 매개로 북핵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 해왔다. 한국 담론장에서 ‘북핵 문제에 있어 중국의 필요성’은 마치 하나의 모범 답안처럼 여겨져 왔다. 본고는 대안적 답안을 모색한다. 그 시발점은 엉뚱하게도 도널드 트럼프다. 트럼프는 2017년 취임과 동시에 “중국의 도움이 있든 없든” 북한과 거래하겠다고 했다. 외교 경험이 전무한 트럼프는 북핵문제에 있어 ‘외교 상식’을 무시한 것이다. 돌이켜 보건대, 싱가포르 회담과 하노이 회담은 트럼프 대통령 개인의 돌출 성격으로 성사된 것이라 해도 그것은 역대 어느 북미 협상보다도 문제 해결에 양국의 최정상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직접 숙의한 자리였고, 그만큼 문제 해결에 가까웠던 역사적 순간이기도 했다. 북한에서 결국 핵문제에 대해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은 김정은 위원장 한 사람이고, 트럼프 대통령이 그와 직접 마주 앉은 것은 문제 해결 관점에서 보면 적어도 시도해볼만한 것이었다. 처음이라 정상 간 ‘톱다운’ 프로세스가 보여준 분명한 한계도 보았다. 하지만 이를 보완해 한국이 북핵 해법을 주도적으로 마련해 이를 기초로 동맹인 미국이 북한과 향후 실무회담을 통한 체계적인 준비를 한다면 북핵문제 해결의 문은 여전히 열려 있다. 본고는 현재의 교착 국면 상태에서 과거의 ‘중국 역할론’으로 회귀하기 보다는, 북미 비핵화 협상 과정에 중국이 북한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그 역할을 내밀하게 살펴봄으로써 오히려 중국 역할의 ‘한계’를 지적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lineate how the “Chinese factor” influenced the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specially under the currently unfolding U.S.-China rivalry. Usually, China is considered a “constant” in North Korean affairs. Therefore, it is regarded common sense that we should cooperate with China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n historical context, such as the Korean War, China’s influence on North Korea was clearly felt. This essay, however, uses its imagination to ask a bold question: ‘Can we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thout China?’ Trump said, before taking office, that North Korea is China’s problem to fix. But after taking office, he became the first incumbent U.S. leader to directly sit down with the North Korean leader. As much as the United States is active i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China’s role and strategic space was reduced in reverse. The South Korean media used the term “China passing” (meaning, China is being sidelined) to point out the unusual phenomenon. This essay scrutinizes Trump’s unpredecent diplomatic outreach and China’s role. It ends with future policy implications.


<목차/Contents>

Ⅰ. 문제제기: 북한 문제에 있어 중국 변수는 과연 ‘상수’인가?
Ⅱ. 중국을 통하지 않고 직접 북핵 해결을 시도한 트럼프
Ⅲ. 북중 정상회담을 통한 중국의 견제
Ⅳ. 북미관계 개선에 대한 중국의 불안
Ⅴ. ‘중국 역할론’ 기대의 한계
Ⅵ. 한국 및 국제사회에 주는 함의


주제어: 미중관계, 북중관계, 북핵, 중국역할론, 한반도
Key Words: : U.S.-China relations, China-North Korea relations,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China’s influence on North Korea, the Korean Penins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