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rise, Sunset: The Rise and Fall of Inter-Korean Economic Relations
남북경제협력의 부침

by 김인한 (Inhan Kim)


<저자소개/About the author>

▶ 김인한 (Inhan Kim)
Inhan Kim (Ph.D. in Foreign Affairs from University of Virginia) is an Associate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t Ewha Womans University. His research focuses on inter-Korean relations and U.S. foreign policy in East Asia. His research works have been published in the Pacific Review, the Washington Quarterly and other academic journals.

김인한은 현재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국제관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콜로라도대학교 콜로라도 스프링스 캠퍼스 정치학과에서조교수, 부교수로 근무하였다. 남북한 관계, 미국외교가 전공분야이며, 연구업적은 퍼시픽 리뷰와 워싱턴 쿼털리 등의 저널에 발표된 바 있다.

<초록/Abstract>
What explains the dramatic rise and fall of inter-Korean economic relations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conventional explanation has been differences in the beliefs of political leaders. That is, liberal presidents such as Kim Dae-jung and Roh Moo-hyun pursued engagement policies with a firm belief that growing economic interdependence with North Korea would help it come out of isolation and moderate its foreign policy, while the conservative next two leaders were skeptical. Examining almost two decades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is paper asserts that the fate of inter-Korean economic relations has depended not just on the political leaders’ beliefs but also on two external forces: Pyongyang’s response to engagement efforts from Seoul and support from Washington. Throughout the sunshine period, the two Koreas were able to expand economic ties both in scope and quantity as both Pyongyang and Washington responded favorably to Seoul’s sunshine policies. In contrast, economic cooperation shrank in scope and the overall volume of exchange fluctuated during—but not because of—the conservatives’ rule in Seoul as Pyongyang rejected Seoul’s proposals and instead accelerated its nuclear armament. This study projects poor prospects for Seoul’s recent efforts to revive economic cooperation with Pyongyang.

남북경제협력의 부침에 대한 지금까지의 주된 설명은 정치지도자들의 신념이었다. 진보대통령들은 남북경제협력이 북한 지도부의 외부 환경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바꾸고 북한 외교정책을 순화시킬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이 있었기에 북한의 도발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경제관계를 유지하려한 반면, 보수 정권의 경우 남북경제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안보적 관점의 이유로 회의적이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정치지도자의 신념이 중요한 변수이긴 하지만 남북경제협력의 부침을 설명하는 유일한 변수는 아니라고 지적한다. 1998년부터 2016년까지의 남북경제협력을 살펴보면서 본 논문은 정치지도자의 신념뿐 아니라 북한이 남한으로부터의 경제협력제안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는지 그리고 미국이 남한의 대북경제협력에 대해 우호적이었는지 역시 매우 중요한 변수였다고 주장한다. 또한, 문재인 정부의 대북경제협력 복원 노력에 대해 비관적 전망을 내놓는다.

<목차/Contents>
Ⅰ. Introduction
Ⅱ. Existing Literature
Ⅲ. Argument
Ⅳ. Case Studies
Ⅴ. Conclusion

Key Words: South Korea, North Korea, United States, sunshine policy, economic cooperation
주제어: 한국, 북한, 미국, 포용정책, 경제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