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se of Digital Military Technology in UN Peacekeeping Operations: Possibilities and Dilemmas

디지털 기술 혁신과 유엔 PKO: 가능성과 딜레마


by Kyoung-Seok Ha (하경석)



<저자소개/About the author>


▶ Kyoung-Seok Ha (하경석)

Dr. Ha, Kyoung-Seok is a Senior Research Associate and Head of Education at the Ilmin International Relations Institute, Korea University. He was a Visiting Research Collaborator (pre-doc) at the Princeton School of Public and International Affairs, and Visiting Fellow at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Princeton University. He received B.A. in English Literature, M.A., and Ph.D. in Political Science from Korea University. His area of interest includes United Nations politics, multilateral diplomacy, international conflicts, and digital/technological innovation.

하경석은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선임연구원 겸 교육운영실장이다. 고려대학교에서 영문학·정치학 학사, (국제)정치학 석사 및 박사를 취득하였다.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Woodrow Wilson School에서 ABD 연수과정을 이수하였고, 동 대학교 국제안보연구센터(CISS)에서 방문연구원을 역임하였다. 국제기구, 다자외교, 분쟁, 디지털 기술혁신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으며, 주요 저술로는 “코트디부아르 내전 종식과 유엔 PKO의 역할” 『한국아프리카 학회지』 (2020), “유엔 PKO의 효과적 무력사용은 가능한가?” 『PKO저널』 (2020) 등이 있다.



<초록/Abstract>

The digitalization of military technology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UN peacekeeping operations. It helps to facilitate the conflict resolution process by strengthening surveillance-led operations. However, adopting digitalized military technology also poses risks that can destabilize the security environment and peace operation itself.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using digital military technology in UN Peacekeeping Operations. Specifically, it analyzes a case of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in UN enforcement operations in DR Congo from 2013. 

The case of using Drones in DR Congo reveals that adopting digital surveillance capabilities made a positive impact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UN peacekeeping forces. Adopting digital military technology is likely to secure the safety of UN troops and help implement the Protection of Civilians (POC) mandate. 

However, challenges remain in issues like Human Rights, collection and use of digital data, and using technology for a humanitarian purpose other than the UN security council mandate. Digital technologies like UAVs have many positive aspects for UN peacekeeping. However, they should be used with discretion to avoid involving another dispute over the fairness or misuse of information.

디지털화(digitalization)를 통한 군사 기술의 혁신은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작전 수행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평화를 수립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동시에 보안 환경을 불안정하게 할 수 있고 평화활동 자체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상당한 위험 요인을 동반한다. 개인정보 보호문제, 해킹 및 남용을 통한 군사기술의 악용 가능성부터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를 통한 공격 시 윤리적 이슈 그리고 디지털 기술의 도입으로 인한 군사 효율성의 증진이 가져올 PKO 인력 축소에 대한 병력공여국(특히 개발도상국)의 우려까지 다양한 기술적, 윤리적, 정치적 문제가 산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술혁신이 국제사회의 평화활동, 특히 유엔의 평화유지활동(PKO)에 갖는 가능성과 쟁점에 대해 살펴보고, 디지털 기술을 PKO 작전에 실제 활용한 DR콩고 MONUSCO의 무인항공기(드론) 활용사례를 분석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DR콩고 동부 지역의 반군을 효과적으로 무력화하기 위해 전투 목적의 무력개입여단(FIB)을 전개하면서 무인항공기를 투입하였다. 무인항공기는 반군이 쉽사리 공격하지 못하게 하는 억지력을 제공하고 적의 거점 등 주요정보를 확보하는 데 기여하였으나, 동시에, 디지털 장비의 군사적 활용, 군사적-인도적 목적의 혼합적 운영, 축적된 데이터의 활용과 관련한 중요한 쟁점을 제기하였다. 본고에서는 유엔의 무인항공기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해, 디지털 군사기술 혁신이 유엔의 PKO에 갖는 도전 과제와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고, 디지털 기술혁신이 작전수행과 평화안보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해 논증한다.



<목차/Contents>

Ⅰ. Introduction

Ⅱ. Digital Technology and PKO: Intelligence-centered Peacekeeping

Ⅲ. Challenges in Adopting Digital Technology in Peacekeeping

Ⅳ. A Case of Using UAVs in DR Congo (MONUSCO)

Ⅴ. Conclusion


Key Words:  UN PKO, Military Technology, Digitalization, UAVs, DR Congo

주제어: 유엔PKO, 군사기술, 디지털화, 무인항공기, DR콩고